사측이 내놓은 두 번째 알림문은, 하루 앞서 나온 노동조합의 첫 번째 성명서에 의해 반박된다. 

노동조합의 일관된 입장은 2017년 체결된 10.13 합의와 2018년 단체협약 협상이 '별개'라는 것이다. 10.13 합의가 파기됐다고 1년 뒤 단체협약 협상이 파기된다는 논리가 성립할 수 없음을 강조했다. 노동조합은 10.13 합의문에 "단협에 반영한다"는 문구도 없고, 지금의 단체협약에 "10.13 합의에 따라"라는 수식어도 없다고 했다. 사측의 두 번째 알림에는 이에 대한 논리적 반박이 존재하지 않는다. 두 협상이 '별개 협상'이라는 노동조합의 주장에 대해, 사측은 "10.13 지킬 줄 알고 단체협약에 넣어줬다"는 말만 반복할 뿐이다.

노동조합은 10.13 파기에 대비해 임명동의제를 단체협약에 넣었음을 분명히 밝혔고, 사측 역시 첫 번째 알림에서 이를 인정했다. 두 번째 알림문에 '내로남불', '독단'과 같은 감정적인 말들이 첨가됐을 뿐, 첫 번째 알림문과 논리적 차이가 없다.

결국, 두 번째 알림문에 대한 노동조합의 입장은, 노동조합의 첫 번째 성명서로 갈음한다. 사측이 새로운 논리를 내놓지 않는다면, 앞으로 노동조합은 건건이 대응하지 않으려 한다.

나아가 노동조합은 10.13 합의를 누가 먼저 파기했느냐 사측과 갑론을박을 벌이며 '진흙탕 싸움'을 벌이는 건 소모적이라고 봤다. 사측은 계속 10.13 합의를 노동조합이 깼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모든 갈등의 발단은 대주주와 경영진의 '소유경영 분리 원칙' 파괴였다. 고발의 출발점이었다. 오죽하면 방송통신위원회가 TY홀딩스 사전승인 조건으로 소유경영 분리와 대주주의 경영불개입을 명시했겠는가.

그럼에도 노동조합은 여론전보다 교섭이 먼저라고 판단했다. 안그래도 모두 코로나로 힘겨운 상황이다. 노사 갈등으로 SBS 구성원들이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건 예의가 아니라고 봤다. 실제, 노동조합은 지난 18일 임명동의제 파기 방침을 공문으로 받았지만 인내했으며, 이어진 22일 실무 협상에서는 "임명동의제 관련 논의는 서로의 간극이 너무 크니, 논의 가능한 부분부터 차근차근 접근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심지어 사측은 노동조합의 제안이 옳다고 했고, 동의한다고까지 말했다. 그런데 불과 6시간 뒤, 사측은 첫번째 알림문을 올리며 여론전에 나섰다. 협상장 밖으로 현안을 끌고 나와 여론전을 시작한 것이다.

사측은 임명동의제라는 대의(大義)에 대한 입장부터 명확히해야 할 것이다. 절차 문제를 지렛대삼아 임명동의제를 파기해야 한다는 건 궁색한 핑계일 뿐, 저의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 

왜 이렇게 임명동의제를 두려워하는가. 시대적 흐름을 역행하려는 이유가 무엇인가. SBS 구성원들에게 명명백백히 설명해보라.

 

2021년 1월 26일
전국언론노동조합 SBS본부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SBS 본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