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모니터 기간동안 앞서 언급한 '대통령 유럽 순방' 보도 외에도 지역감정과 졍책보도에 있어서도 미흡했다.
먼저 지역감정 조장 관련보도의 경우 지난 9일 방송 3사가 각당의 지역감정을 부추기는 보도를 하지 않기로 결의한 것으로 결론이 났지만 '지역감정' 보도가 신중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보도내용을 보면 JP발언파문 확산(3/3), 또 망국병(3/6), '원조'공방 가열(3/6), 괴수발언 파문확산(3/7) 등 지역감정 조장 발언을 릴레이식 중계방송을 했고 각당의 지역감정 대응을 '공방'식으로 접근했다. 이에따라 지역감정 멘트가 여과없이 전달됐고 지역감정 공방을 통해서 누가 더 심한 발언을 하는가를 지켜보는 흥미위주의 보도를 보였다.
리포트 제목에서도 서울 세몰이 총력(3/3), 영남 민심 잡아라(3/3), 세확산 박차(3/4), 전략지역 민심잡기(3/8) 등과 같이 언론이 지역주의를 당연시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정책비교에 대해서는 거의 다뤄지지 않는다는 것이 모니터 평가결과다. 민주당의 경우 성폭력 범죄에 대해서 친고죄 규정을 폐지하는등의 총선 공약을 발표했고 한나라당도 교육비 전액에 대해 소득공제를 하는등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경마식 보도를 지양하고 정당, 후보자별 정책과 이슈 중심의 기사를 개발하도록 노력한다"는 총선방송 준칙 정신과는 달리 정책비교는 리포트에 한 문장 정도로 그쳤다. 그나마 정책비교 보도인 '중산층 재건 공방'(3/10)도 공방식 보도에 그쳐 총선방송 준칙의 정신에는 미흡한 것이었다.
또 총선을 앞두고 정부, 여당의 급조된 선심정책이 봇불을 이루고 잇지만 이들 정책에 대한 검증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일례로 석유가 인상을 바로 소비자가에 반영(3/8)한다고 발표한 정부정책이 하룻밤에 뒤바뀌었지만 과연 어떤 정책이 국가경제와 궁극적으로 서민 경제에 유익한 것인지에 대한 분석은 없었다.
다만 정당 리포트에 있어서 각당의 양적이 균형과 보도자세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으며 타사와 비교했을 경우에도 무난했다는 평가다.
결론적으로 앞서 언급한 문제점은 SBS만의 문제라기 보다는 방송 3사 뉴스에서 공통적으로 보인 문제점이었다. 따라서 양적인 균형보도로써 만족할 것이 아니라 언론의 비판과 감시 역할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작성일:2000-03-14 01: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