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10년 묵은 낡은 채찍에 대한 "유감" "당신의 매질에서 단 1%의 진실이라도 찾기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우리는 SBS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남북이산가족 방송은 10년차된 SBS의 성숙도를 나름데로 보여준 작품이었다. 개별 상봉자에 대해 거의 완벽하게 준비된 사연이 적절한 타이밍에 스크롤자막으로 흘렀다. 진행자는 남녀 MC 두사람뿐이었지만 화면은 꽉 차보였다. 감정을 절제했지만 멘트는 차갑지 않았다. 현장에 나가있는 기자들의 리포트도 여유로와 보였다.
방송 3사가 공동으로 중계하는 프로그램은 으레히 SBS의 시청율이 반절 이하였으나 이번엔 나름데로 선전했다. 이제 통일의 세기에는 SBS가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는 다소 성급한 기대도 해봄직했다.
그런데 어느 여류 방송인의 칼럼이 현업자들의 심기를 긁어 놓았다. 적지만 소중한 성취감으로 서로의 고단한 심신을 위로할 적에 난데없이 포탄이 날아온 것이다.
"이번 이산 가족방송에 대해서는 SBS가 KBS나 MBC와 함께 놓고 이야기조차 할 수 없는 수준임이 드러났다."
논란이 일자 본인은 긴장의 고삐를 늦추지 않게 하기 위한 경고성 발언이라고 한다. 일종의 공포탄이었는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변명해도 그것은 도발이고 침략행위다.
SBS에 대한 도발행위는 도처에 산재한다. 한국방송의 문제점이 오직SBS의 출범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하는 방송인들도 있다. 심지어는 SBS가 미우니까 SBS노조도 미운꼴이라고 단죄하는 '방송동지'도 적지 않다.
옳은 지적에 대해서는 겸허히 수용하고 반성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다소 억지성 발언이 있더라도 아직은 채찍으로 여겨야 한다. 하지만 터무니 없는 모함에 대해서는 더 이상 물러날 수가 없다. 개국한지 10년이 지났는데 언제까지 설립과정의 원죄를 사죄하며 저자세를 취할 것인가?
한국은 과거 권위주의 정권을 거치면서 방송의 독립성과 공익성 확보가 지상과제였다. 공익에 반하는 것은 악이고 방송에 양리적 목적이 게재되는 것은 불순했다. 그러나 방송시장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자본주의적 세계방송시장(Global Market)이 등장했다. 전 세계적인 시장경제 흐름에 따라 국영, 공영방송이었던 나라들이 공민영 혼합체제로 옮아가고 있다.
글로벌 마켓의 경쟁질서 속에서 우리 방송시장을 지키기 위해서 민영방송의 역할은 분명히 있다. 자본주의적 경쟁 원리가 가져온 효율성을 인정한다면 방송민영화의 당위성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민영만이 살길이라고 외치지는 않는다. 공영의 장점은 분명히 있고 역할도 중요하다. 그렇다면 이제는 민영방송의 장점과 역할도 있는 것이다. 민영방송의 잘못되면 상업주의의 폐해에 매몰되듯이 공영방송이 잘못되면 국영방송이 될 수 있음을 우리는 이미 5,6공 시대에 경험했다.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하면서 공존하는 것이 순리다.
SBS를 때리는 사람들에게 말하자. 당신의 말 속에 단 1%의 닌실이라도 있으면 우리의 아픔은 감내하고 귀를 기울이겠다고 그리고 10년전의 논리에 매몰된 채 무조건 매를 드는 사람이 있다면 이렇게 이야기하자.
"당신의 매질에서 단 1%의 진실이라도 찾기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우리는 SBS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