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에 대한 감시와 견제의 역할을 포기했나?
“국민이 선출한 정부가 권한을 가지고 시행하는 정책에 대해서 반대하는 목소리를 전부 다 똑같은 비중으로 다뤄줘야 됩니까?”
지난달 29일 열린 보도편성위원회에서 있었던 SBS 보도본부장의 발언이다.
노조 공정방송실천위원회(이하 공방위)는 ‘공공기관 성과연봉제와 민영화 관련 불공정 보도’와 ‘ UN 인권이사회 보고서 보도 누락’ 문제에 대해 보도편성위원회를 요구했고 지난달 29일 보도본부장, 보도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보도편성위윈회를 개최했다.
공방위는 ‘성과연봉제와 관련한 경험으로부터 얻은 한 가지 결론은 공공서비스에서 이 방식이 잘 작동하는 나라는 하나도 없다’는 OECD 보고서와 성과연봉제 전도사였던 경영 컨설팅사 맥킨지조차 성과연봉제는 실패한 제도임을 인정했다는 점을 들어가며 공공기관 성과연봉제를 압박하는 정부 정책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지적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또한 박근혜 정부가 ‘공공개혁’이라는 이름으로 추진하는 핵심 과제 중에 하나인 공기업 민영화 사업에 대해선 국가 기간산업의 민영화가 불러 올 사회, 경제적 파장을 고려해 언론의 적극적인 감시와 비판이 더욱 절실한 사안임을 전달하고자 했다.
그러나 SBS 보도책임자는 격앙된 목소리로 언론의 기본적인 감시 기능을 스스로 포기하는 발언을 이어갔다.
이런 보도책임자의 인식은 청와대와 정부 정책에 대해 무비판적인 스탠스를 유지하며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SBS 뉴스의 암울한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단면이라 판단된다.
게다가 보도책임자는 보도의 공정성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사 합의 공식 절차인 편성위원회 의미를 폄훼하는 발언까지 서슴지 않았다.
“이게 무슨 저 공방위원회까지 소집을 할 만한 사안인지 동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자고 하니까 하는 거고”
공방위는 보도책임자의 감정적인 대응에 대해 차분히 회의에 임해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18분 만에 회의 중단을 선언했다.
이같은 파행에도 불구하고 공방위는 앞으로 ‘SBS 방송규약 14조’에 따라 매월 1회 보도편성위원회를 열어 보도 공정성 문제에 대한 대화의 장을 정례화하기로 했다.
또한 노사는 다음 주 전체편성위원회를 열어 ‘보도편성위 보도본부장의 발언 문제’와 ‘이정현-김시곤 녹취록 축소보도’ 문제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