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이 대내외적으로 비판에 직면했을 때마다 주구장창 떠들기만 했던 “소유 경영 분리, 방송의 공적책임 강화, 공정성 실현”을 구문이 아닌 현실에서 실현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가 ‘임명동의제’였다. 이를 일방적으로 파기한 사측에 대해 구성원들은 한목소리를 냈다.
지난 7월 26일부터 나흘간 진행된 ‘전 조합원 인식조사’에서 설문 참여 조합원 84.6%가 “임명동의제가 필요하다(매우 필요하다 48%, 필요한 편 36.6%/표1)”고 응답했다. 사측의 모략과 폄훼에도 구성원들은 소유 경영 분리와 공정방송 실천을 위해 임명동의제가 필요하다고 분명하게 목소리를 낸 것이다.
임명동의제는 2017년 10.13 합의를 시작으로, 2018년 ‘단체협약서’에 못 박혔다. 이는 노사가 숙의한 결과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구성원과의 약속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걸 노사 모두 인정하고 있다. 그동안 끊임없이 지탄받았던 ‘대주주의 전횡, 방송의 사유화, 불공정성’을 끊어내자는 대국민 선언이었다. 구성원들은 이런 약속을 잊지 않았기에 한 목소리를 낸 것이다.
임명동의제의 가치를 허물려는 사측의 시도에 대해서도 83.3%(표2)가 “막아내야 한다”며 강력하게 요구하고 나선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임명동의제 도입 당시 사측은 “방송의 공정성과 독립성을 강화하는 획기적인 조치”라며 보도 자료까지 내며 치켜세웠다. ‘소유 경영 분리의 선진적 모델’이라는 의미부여를 했던 것도 사측이었다. 기록으로 남겨진 이런 말들을 사측은 애써 잊고 외면하려하지만, 구성원 모두는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다는 걸 이번 조사 결과는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절대 다수의 구성원들이 임명동의제 필요성을 거듭 요구하며 폐기 시도를 막아야 한다고 외치는 건 냉철한 현실 인식에 기인한다. ‘단순한 선언적 요구나 당위적인 응답’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이런 공감대가 정확하게 확인됐다.
많은 조합원들이 임명동의제가 도입된 이후에도 여전히 소유 경영 분리에 대한 현실적 위기감을 체감하고 있었다. “SBS의 소유 경영분리가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응답은 54.8%(표3)로 “지켜진다(13.9%)”는 답변보다 4배 가까이 나타났다. 소유 경영 분리 제도를 강화해도 모자랄 판에 임명동의제 마저 없애겠다고 나선 사측 행태가 얼마나 퇴행적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관련 내용 2,3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