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원들 원하면 변경 가능”

 

지난달 30일, 2분기 제작편성위가 열렸다. 노조 측에선 유혜승 사무처장, 고정현 공정방송위원장 등이 참석했고, 사측에서는 박기홍 제작본부장, 박상욱 교양국장, 장용준 제작운영팀장이 참석했다.
지난달 30일, 2분기 제작편성위가 열렸다. 노조 측에선 유혜승 사무처장, 고정현 공정방송위원장 등이 참석했고, 사측에서는 박기홍 제작본부장, 박상욱 교양국장, 장용준 제작운영팀장이 참석했다.

  ‘시사교양국’의 ‘교양국’ 명칭 변경이 시사프로그램 축소의 의미를 담은 것 아니냐는 등의 우려에 사측은 큰 의미는 없는 것이며 구성원들이 원하면 재변경을 논의해볼 수 있다고 답했다.

  지난달 30일 열린 전국언론노동조합 SBS본부와 사측의 2024년 2분기 제작편성위원회(이하 제작편성위)에서 <직제 변경에 따른 변화와 방향성>에 대한 안건이 집중 논의됐다. 노동조합은 지난 조직개편 때 방문신 사장이 “명칭을 단순화하고 직관화하며, 업의 본질에 집중하자는 의미”라고 말한 바 있다며 시사교양국에서 ‘시사’라는 명칭을 뺀 이유를 따져 물었다. 업의 본질에 집중하겠다며 ‘시사’ 명칭을 뺀 건, 시사 제작을 줄이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사측은 “조직개편으로 ‘미디어기술연구소’가 ‘기술연구소’로 바뀌는 등 전체적으로 부서 이름의 길이가 많이 줄었다”며 다른 의미는 없다는 취지로 답했다.  

  지난 5월 7일 회사는 조직개편을 하며, 시사교양본부와 라디오센터를 합쳐 제작본부를 신설하고 산하 시사교양국을 교양국으로 명칭 변경한 바 있다. 

  노동조합은 현재 조직개편을 진행 중인 KBS를 사례로 들며, 시사프로그램의 축소나 변경의 의미를 담은 것 아니냐는 취지로 재차 물었다. KBS는 시사 프로그램인 <추적60분>을 보도본부로 이관하고,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제작해온 제작1본부를 사장 직속 교양다큐센터로 강등하는 조직개편을 계획 중인데 내부 반발이 큰 상황이다.

  이에 사측은 과거에도 ‘교양국’ 명칭으로 조직을 유지한 기간이 꽤 있었다며 “이름을 바꿨다고 해서 시사를 못하게 되거나 기존에 하던 프로그램을 안 하게 되진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업 PD 등이 시사교양국이라는 이름이 더 정체성이 맞지 않느냐고 한다면 연말에 조직 개편을 할 때 한 번 더 반영해 볼 수 있다”고 답했다. 또한 격변의 시기 교양국의 비전과 방향성에 대해서는 구성원들이 참석하는 타운홀 미팅 때 구체적으로 밝히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SBS 본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